본문 바로가기

Android65

[kotlin]null 값에 대한 안정적인 처리 - Null Safety - null은 항상 이슈의 중심에 있는데, null로 인해 프로그램 전체 혹은 앱 전체가 멈출 수 있다 - 프로그램이 멈출 수 있는 상황을 다음과 같이 코드로 만들어보겠다 class One { fun print() { Log.d("null_safety", "can you call me?") } } -> 1개의 메서드를 갖고있는 클래스를 만든다 var one: One if (1 > 2){ one = One() } one.print() -> 그리고 onCreate() 메서드 안에서 다음과 같이 one 변수 하나를 선언하고, 타입으로 내가 만든 클래스를 지정해둔다 -> 그리고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만 선언한 변수에 생성자를 호출해서 저장해두는 조건문 if를 만든다 -> 그리고 변수를 통해, 해당 클래스의 메서.. 2024. 1. 16.
[kotlin]클래스와 설계 -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 안에서 클래스를 정리하면, 클래스는 단지 변수와 함수의 모음이다! - 그룹화 할 수 있는 함수와 변수를 한군데에 모아놓고, 사용하기 쉽게 이름을 붙여놓은 것을 "클래스" 라고 이해하면 쉬울것이다! # 클래스의 기본 구조 - Kotlin에서 사용되는 클래스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class 클래스명 { var 변수 fun 함수() { // 코드 } } 다음은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String 클래스의 코드를 함축해서 보여주는 코드다 class String{ var length: Int fun plus(other: Any){ // code } fun compareTo(other: String){ // code } } -> length로 문자열의 길이를 알 수 있고, plus로.. 2024. 1. 16.
[kotlin]함수 함수는 fun으로 정의하고, 반환값이 있는 함수는 내부에서 return으로 값을 반환한다 함수를 정의할 때 입력값을 기술한것을 "파라미터"라고 하는데, 이 파라미터를 전달하고 결괏값을 돌려받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볼것이다! 모든 코드는 함수 안에 작성해야하며, 코드의 실행은 함수를 호출하는것에서 시작한다 안드로이드 앱도 onCreate()함수를 호출해서 실행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내부는 더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지만, 일단은 단순하게 접근하자!) # 함수의 정의 - 함수는 fun 키워드로 정의하며, 값을 입력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 이때 입력될 값을 기술한 것을 파라미터(Parameter) 라고 한다 -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다 fun 함수명(파라미터 이름: 타입): 반환 타입 { return 값.. 2024. 1. 16.
[kotlin]반복문 반복문은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만약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로그를 사용하여 출력할때 반복문이 없다면, 로그코드를 10줄을 작성해야될것이다 그치만 반복문을 사용하면, 반복문 내에서 로그코드를 한줄만 작성하면 된다! 반복문에는 for문과 while문 두가지가 있으며, for문은 특정 횟수만큼 코드를 반복하기위해 사용하고, while문은 특정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코드를 반복할 때 사용한다 while문은 if문처럼 조건식을 사용해서 언제까지 반복할지 결정할 수 있다 # for 반복문 - 아래 코드처럼 for 다음의 괄호 ( ) 안에 반복할 범위를 지정하면, for블록의 코드가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해서 동작한다 for (반복할 범위){ // 실행 코드 } # for in .. (온점 2개.. 2024. 1. 16.
[kotlin]배열과 컬렉션 Int와 Double같은 타입은 모두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만 저장하도록 되어있는데,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하나의 변수에 여러개의 값을 저장해야할때가 있다 이처럼 여러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수있도록 배열(Array)과 컬렉션(Collection)이라는 데이터 타입을 제공한다 # 배열 - 여러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형 - 배열 공간의 개수를 할당하거나, 초기화시에 데이터를 저장해주면 데이터의 개수만큼 배열의 크기가 결정됨 - 개수를 정해놓고 사용해야하며, 중간에 개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var 변수 = Array(개수) -> 배열은 다른 데이터 타입과 마찬가지로,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할수있으며 위와같은 형태로 선언한다 var students = IntArray(10) var.. 2024. 1. 16.
[kotlin]조건문 # 조건문 - 특정 조건에 따라 결과를 다르게 실행하고자 할때 사용 - 주어진 조건식의 결괏값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코드를 실행할 것인지 or 다른 코드를 실행할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 - "제어문" 이라고도 함 - 제어문 -> 조건문(if, when) / 반복문(for, while) # 조건문 ( if ) var myNumbers = "1, 2, 3, 4, 5, 6" var thisWeekNumbers = "5, 6, 7, 8, 9, 10" if (myNumbers == thisWeekNumbers){ // if문 시작(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if 블록 내의 코드를 수행) Log.d("Lotto", "당첨되었습니다!") } -> if를 통해 myNumbers와 thisWeekNumbers가 같은지 .. 202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