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5 [Android/Kotlin] Naver Map API 사용법 🤔 고민해본 사항Map을 구현하기위해서는 구글, 카카오,네이버 등 다양한 플랫폼이 존재한다.나는 그중 네이버를 선택했는데, 선택한 이유는 아래 이유때문이다.1. 일단 저번 팀프로젝트때 카카오맵을 사용했었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을 사용하고 싶었다. (심지어 카카오맵부분을 내가 맡아서 구현했는데, 공식문서가 친절하지 않아서 꽤나 고생했었다.)2. 네이버맵은 공식문서가 엄청 친절한점3. 현재 개발하는 앱특성상, 국내 타켓인점 💻 구현하기1. 플랫폼 등록먼저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서 네이버클라우드에 로그인을 한뒤, 신용카드 등록을 완료하면 이용신청을 할수있게된다(신용카드를 등록해도 유료상품을 이용하지 않으면 결제가되지 않으니깐, 안심하고 결제를 하도록하자)https://www.ncloud.com/produc.. 2024. 8. 18. [에러] File google-services.json is missing 에러 기존에 하고있는 프로젝트를 최근에 다시 빌드시켜봤더니 아래와 같은 오류코드가 발생했다 google-services.json이 없을때 발생하는 에러였다 해당 프로젝트와 연결된 파이어베이스를 열어서 프로젝트 설정으로 들어간뒤 아래를 보면 json파일을 다운받을수있도록 되어있는데 해당파일을 다운받아준다 다운받은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넘어와서 해당 json파일을 project -> app폴더로 복붙해준다!!이렇게하고 Build -> Rebuild Project 해주면 프로젝트가 잘 빌드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을것이다 분명 json파일을 넣었었는데 최근 노트북을 새걸로 바꾸면서 깃허브에서 클론해오는 과정에서 날아갔나보다..? 2024. 8. 17.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DK 에러] SDK location not found. 오류 전체코드SDK location not found. Define location with an ANDROID_SDK_ROOT environment variable or by setting the sdk.dir path in your project's local properties file at '/Users/juwonjeon/AndroidStudioProjects/FLO/local.properties' 간단한 에러인데 프로젝트 실행할때 은근 자주 나오는 에러이기때문에 기억을 해두려고 작성한다이 에러는 SDK 경로를 찾을 수 없어서 발생하는 에러이다.맥 -> 윈도 / 윈도 -> 맥으로 프로젝트를 옮길 때 자주 발생하는 에러라고한다.나는 현재 맥을 쓰고있기때문에 맥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local.p.. 2024. 8. 3. [자료구조] 그래프(Graph) 그래프란?그래프는 vertex와 edge로 구성된 대표적인 비선형 자료구조이다.vertex는 트리에서 노드와 비슷한 개념이고, edge는 vertex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선이다.두 vertex가 edge로 연결되어있을때, 두 vertex는 "인접해있다" 고 한다. 트리도 그래프의 일종이지만, 그래프는 트리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그래프의 종류- 방향 그래프 (directed graph) 화살표를 이용해서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프를 방향그래프라고 한다.방향 그래프는 무조건 방향의 순서대로만 노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방향이 없는 그래프는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라고 한다. - 가중치 그래프 (weighted graph)가중치 그래프는 아래그림처럼 ed.. 2024. 8. 3. [자료구조] 이진탐색트리(BST - Binary Search Tree) 일단 트리구조는 그 자체만으로는 데이터값에 대한 어떠한 제약도 없기때문에,어떤 특정한 값을 찾기위해서는 트리의 모든 데이터를 탐색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그러면 데이터 N개만큼의 탐색을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면에 있어서 좋지 않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이진탐색트리가 나오게되었는데, 이진탐색트리는 데이터의 특성에 제약을 줌으로써 탐색속도를 O(logN)으로 줄여주는 특징이 있다. 이진트리와 이진탐색트리 비교이진탐색트리는 기본적으로 왼쪽 자식노드와 오른쪽 자식노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진트리와 같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일반적인 이진트리와의 차이점은 데이터값에 제약이 생긴다는것이다.이진탐색트리에서는 루트노드를 기준으로 왼쪽서브트리는 루트노드보다 작은값들로만 이루어져있어야하고,오른쪽.. 2024. 7. 26. [자료구조] 이진힙[힙](heap) 힙(Heap)힙(heap)은 이진 힙(binary heap)이라고도 하며, 최댓값 및 최솟값을 찾아내는 연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 고안된 완전 이진트리(complete binary tree)를 기반으로 한 자료구조다. 따라서 완전 이진트리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완전 이진트리의 특징1. 마지막 레벨을 제외하고 모든 노드가 채워져있어야한다.2. 노드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채워져야한다. 힙은 최대힙(Max Heap)과 최소힙(Min Heap)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대힙은 부모노드가 항상 자식노드보다 큰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루트노드는 항상 트리의 최대값이게 된다! 이와 반대로 최소힙은 부모노드의 값은 항상 자식노드보다 작기 때문에, 루트노드는 항상 트리의 최소값이게 된다!이런 최대힙과 최소힙의 특성.. 2024. 7. 26. 이전 1 2 3 4 5 6 7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