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5

Git 협업 - 브랜치 # 브랜치란??- 쉽게 말해서 브랜치 = 복사본이다 예를들어, 장바구니 기능을 만들기로했는데 장바구니 기능이 꽤 오래걸릴것같고 만들다가 에러가 많이 날것같다고 해보자그럼 차라리 복사본을 만들어서 기존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게 더 좋을것이다!이를 위해서 코드의 복사본 = 브랜치를 만드는 것이다 # 브랜치 생성 명령어 - git branch 브랜치 이름-> 이렇게만 쓰면 아무런 반응이 없는데, 브랜치가 잘 생성됐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git branch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 git branch -> 이렇게 쓰면 내가 원래 가지고있던 브랜치(main)와 내가 만든 브랜치(login)가 표시가 되어있는걸 볼수있다 -> *표시가 붙은 브랜치가 내가 현재 위치해있는 브랜치라는 뜻이다 # 브랜치 이동 .. 2024. 3. 8.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 문제 자연수 n을 뒤집어 각 자리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형태로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2345이면 [5,4,3,2,1]을 리턴합니다. # 제한조건 n은 10,000,000,000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입출력 예 n = 12345 , return = [5,4,3,2,1] # 풀이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Long): IntArray { var num : Long = n var answer = ArrayList() while (num > 0 ) { answer.add((num%10).toInt()) num = num/10 } return answer.toIntArray() } } 일단 answer 이라는 빈 리스트를 만들어놓고, num이 0보다 크면 해당 .. 2024. 3. 8.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 문제 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합니다.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조건 x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n은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입출력 예 ex) x = 2, n = 5, answer = [2,4,6,8,10] ex) x = 4, n = 3, answer = [4,8,12] ex) x = -4, n = 2, answer = [-4,-8] #풀이 class Solution { fun solution(x: Int, n: Int): LongArray { var List = mutableListOf() .. 2024. 3. 7.
[kotlin] 문법 3주차 정리 - 기초 # 메서드 설계 - 클래스의 함수 = 멤버함수 = 메서드 - Kotlin의 메소드 구조fun 메소드이름(변수명:자료형, 변수명:자료형 ....) : 반환자료형 { 소스코드 로직} - 예제두 개의 숫자를 더하는 메소드를 만들고, 전달하는 숫자에 따라 덧셈결과를 알려주기fun main() { var num1 = readLine()!!.toInt() var num2 = readLine()!!.toInt() // sum이라는 이름의 메소드를 호출! sum(num1, num2)}fun sum(num1:Int, num2:Int) { var result = num1 + num2 println("num1과 num2의 덧셈결과는 ${result}입니다.")}//결과105num1과 nu.. 2024. 3. 7.
[kotlin] 문법 2주차 정리 - 기초 # 코딩 컨벤션 - 다른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게 코드를 작성하는 규칙- 코드의 가독성이 증가해서 나중에 봐도 쉽게 이해가능- 유지보수가 용이- 효율적인 협업 가능 - 카멜케이스 표기법주로 변수, 메소드 이름 지정할 때 사용seoulFood (O) - 스네이크케이스 표기법주로 상수의 이름 지정할 때 사용seoul_food (O) - 파스칼케이스 표기법주로 클래스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SeoulFood (O) # 출력과 입력 - 출력 (Output)프로그램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행위 ex) 프로그램의 결과를 모니터로 정보 출력- 입력 (Input)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불러와서 프로그램에서 확인하는 행위ex) 키보드에서 입력한 내용을 불러와서 프로그램에서 확인 # 자료형- 자료.. 2024. 3. 6.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나머지가 1이 되는 수 찾기] # 문제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x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이 항상 존재함은 증명될 수 있습니다. # 제한사항 3 ≤ n ≤ 1,000,000 # 입출력 예 # 풀이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Int { var answer: Int = 0 for (x in 2..n-1){ if (n%x == 1){ answer = x break } } return answer } } 먼저 1과 n은 나머지가 1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반복을 제거하기위해서 2부터 n-1까지만 반복문을 돌게했고, n을 x로 나눴을때 나머지가 1이면, 나머지가 1이 되는 첫 수를 .. 2024.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