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 제한사항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 입출력 예
입출력 예#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 따라서 [5, 10]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2
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1, 2, 3, 36]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3
3, 2,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1]을 리턴합니다.
# 풀이
class Solution {
fun solution(arr: IntArray, divisor: Int): ArrayList<Int> {
val answer = arrayListOf<Int>()
for (i in arr){
if (i % divisor == 0){
answer.add(i)
}
}
if (answer.isEmpty()){
answer.add(-1)
}
answer.sort()
return answer
}
}
-> 먼저 answer 변수에 Int형으로 이루어진 배열을 선언해주고
i에 arr값을 하나하나 넣어주면서 for문을 돌면서, i%divisor이 0이면 answer에 i값을 추가해준다
그리고 answer에 값이 하나도 없으면 원소값이 전부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answer값이 비어있으면 answer에 -1을 넣어준다
그리고 리턴하기전에 sort()를 통해 오름차순을 시켜준뒤 리턴해준다
# 다른사람 풀이
class Solution {
fun solution(arr: IntArray, divisor: Int): IntArray {
val answer = arr.sorted().filter {
it % divisor == 0
}
return if (answer.isEmpty()) intArrayOf(-1) else answer.toIntArray()
}
}
-> filter를 사용해서 it % divisor 이 0이되는 원소만 걸러낸 리스트를 반환한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arr: IntArray, divisor: Int): IntArray {
var answer = intArrayOf()
arr.forEach { if (it % divisor == 0) answer += it }
answer.sort()
if (answer.size == 0) answer += -1
return answer
}
}
'개발 노트 > 알고리즘[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0) | 2024.03.25 |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콜라츠 추측] (0) | 2024.03.22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두 정수 사이의 합] (0) | 2024.03.22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하샤드 수] (2) | 2024.03.19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1) | 2024.03.15 |